본문 바로가기

개발

AWS IAM을 사용해야 하는 이유 AWS IAM(identify and Access Management)은 AWS 자원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고 보안을 유지하는데 반드시 설정해야하는 AWS의 글로벌 서비스입니다. IAM 설정은 글로벌 서비스이기 때문에 모든 리전에 걸쳐서 적용되며, 전세계 어디에서나 일관된 규칙과 정책으로 사용가능합니다. 결론적으로 클라우드 기반위에서 보안과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 중요합니다. 그룹 생성: AWS Management Console에서 루트 계정으로 로그인한 후 IAM 대시보드로 이동합니다. 'User groups' 메뉴에서 'Create group'을 클릭합니다. 그룹에 적절한 이름을 지정하고, 해당 그룹에 할당할 정책을 선택합니다. 기본적으로 Admin 계정으로 할당하려면 ' AdministratorAcc.. 더보기
우분투에서 LXC 컨테이너 빠르게 시작하기 # apt update # apt install lxc 템플릿 다운로드 $ ls /usr/share/lxc/templates 사용할 템플릿이 없다면 $sudo apt install lxc-templates 컨테이너 생성 우분투 컨테이너 생성하기 # lxc-create -n myCon -t ubuntu # lxc launch ubuntu:18.04 myCon # sudo lxc-start -n myCon -d(detach) 를 사용하면 실행시키고 콘솔 들어가지 않음. # sudo lxc-attach -n myCon 더보기
Rust 소유권(Ownership) 이해하기 - 스택과 힙 소유권의 주요 목적은 힙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입니다.소유권을 이해하려면 스택과 힙에 개념에 대해서 알아야합니다. 실제 코드를 작성하면 스택과 힙의 구조에 대해 자주 생각할 필요는 없지만 개념적으로 데이터가 어떻게 사용되고 어떤 영역에 존재하는지 알고 다릅니다. 스택과 힙 많은 언어들은 스택과 힙에 대해 자주 생각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Rust와 같은 시스템 프로그래밍 언어는 값이 스택에 있는지 힙에 있는지 여부는 프로그램이 작동하는 방식과 의사결정을 내려야 하는 것에 대해 영향을 줍니다. 스택과 힙은 모두 코드에서 런타임에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의 일부이지만 서로 다른 방식의 구조입니다. 스택은 값을 가져온 순서대로 저장하고 반대 순서로 값을 제거합니다. 이것을 후입선출이라고 합니다. 접시를 생각하.. 더보기
Rust(러스트)란? 이 언어의 특징을 가볍게 훑어보기 Rust의 랭귀지적인 특성을 간단하게 요약해보면서 어떤 언어인지 감을 익히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이후에는 좀 더 세부적인 내용과 예시를 들면서 Rust 언어에 대한 이해를 높여보겠습니다. Rust(러스트)의 특징 Rust는 기본적으로 변수가 불변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상수랑 변수는 엄연히 다릅니다. cargo라는 실행기를 통해 컴파일하고 빌드를 할 수 있습니다. cargo.lock에서 의존성에 대한 기록을 함으로써 버전관리를 할수 있습니다. shadowing 기법을 통해서 변수를 재할당 할 수 있습니다. 타입에 대해서 엄격하기 떄문에 조건식에 bool이 아니라 다른 언어에서는 참이라고 받아들여졌던 1이 온다거나 문자열이 온다거나 한다면 오류가 발생합니다. ownership(소유권)은 rust의.. 더보기
react(리액트)란 도대체 뭘까? 왜 쓰는 걸까? 프론트엔드 개발을 하기 위해서 누구나 들어보는 리액트, 리액트의 어떤 기능과 장점이 있길래 쓰는 것일까요? 리액트는 간단하게 말하자면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입니다. 리액트는 컴포넌트라고 하는 html의 구성요소 묶음을 활용해서 재사용성을 높여주고, virtual DOM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관리할 수 있어서 많은 프론트엔드 개발자에 사랑받고 있습니다. virtual DOM이라고 했는데 DOM에 대해서 알아둘 필요가 있는데요. DOM은 Document Object Model의 약자로 html의 h 태그, p태그, div 태그 등과 같은 엘레먼트, 스타일, 내용에 대해 프로그래밍 언어가 조작이 가능하게 하는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 자세한 설명은 아래 모질라 링크를 참조해주세요. https://dev.. 더보기
리눅스/윈도우 호스트 파일에 대해 초기 인터넷은 ip와 매핑되는 도메인을 os에 호스트파일로 저장을 했다. 리눅스와 맥은 `/etc/hosts`파일에, 윈도우는`C:\Windows\System32\Drivers\etc\hosts` 각 운영체제에 맞는 호스트 파일을 한번 들여다보자 ! 127.0.0.1은 자기자신에게 핑보낼때의 루프백 ip 주소이다. 루프백 network 127.0.0.0/8 (127.0.0.1~127.255.255.254) 중에 127.0.0.1이 널리 사용된다. 거의 고정으로 사용된다고 생각하면 된다. 그 주소에 가리키는 도메인이 localhost다. 호스트 파일에는 localhost 외에도 자신을 가리키는 도메인은 localhost.localdomain 등이 있다. 더보기